-
2022년 청년희망적금은 2023년 청년도약계좌로 변경되었습니다. -신청방법 부터 신청기간까지.쉽게 보는 금융정보 2023. 1. 31. 19:12반응형
- 이전부터 계속해서
말도 많고 탈도 많던
청년희망적금이,
2023년에는 청년도약계좌로
변경된다고 말씀드렸었죠?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진정으로 필요한 청년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제도가 될 것인지,
추후에 다시 정리해 드린다고 했었는데요.
그동안 어느 점이 변경되었고,
신청방법부터 신청기간까지
저와 함께 쉽고 빠르게
알아보도록 합시다.
글 읽는데 3분도 채 걸리지 않습니다.
끝까지 읽어보시고,
인생 살아가시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
관련기사나
이전 글을 보고 오신 분인 아니라면,
관심이 없으신 분들이라면,
생소할 수 도 있겠습니다.
현 정부가 아닌,
문재인 정부일 때에 시행된 제도로
2년간 매월 50만 원 을 저축하면,
만기에 이자와 함께 지원 장려금을
받을 수 있는 적금이었습니다.
기대와는 달리,
말도 안 되는 조건들로 인해
정작 필요한 청년들에겐
지원이 부족하다는
규탄이 이어졌었는데요.
해당 내용은
이전에 정리해 놓았던 글을 보고 오시면
이해하시는데 더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https://getyourmoney.tistory.com/161
청년희망적금 에서 청년도약계좌로, 변경점 내용정리
2022년에 시행한 청년희망적금이 2023년에 청년 도약 계좌로 변경됩니다. 오늘은 이러한 청년들을 위한 정책이 어떻게 변경되는지, 저와 함께 쉽고 빠르게 알아보도록 합시다. 글 읽는데 3분도 채
getyourmoney.co.kr
이 청년희망적금은
현재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그렇다면 이미 가입한 사람들은 어쩌죠..?
기존에 가입한 대상자들은
2024년 3월, 마지막 장려금을 지급하고
사업이 종료될 예정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지어진 이름대로,
청년들의 앞길을 도약해 주겠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습니다.
소득구간에 따라
가입자의 납입 금액에 비례해
정부가 기여금을 지급해 주고,
여기서 발생한 이자에 대한 소득세는
부과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은행이자에 대한 비과세 처리
*납입액의 3%~6% 를 정부에서 기여금 보조
*최대 납입액 40만 원 ~ 70만 원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만 19세 ~ 34세 청년
: 병역이행을 한 경우 이행기간
(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미산입 됩니다.
2. 개인소득 6,000만 원 이하,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가입 기준은 2022년을 기준으로 합니다.
소득이 전혀 없는 경우엔 가입이 불가합니다.
당연한 것이,
달마다 빠져나가야 하는 원금이 있는데,
소득이 없다면
이것을 낼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것이죠.
소득으로 잡힌다면,
그 어떤 것이든 가능합니다.하나 그 외에 경우.
예를 들어,
다달이 부모님의 손을 빌려
내는 것이라면,
그것은 증여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신청이 불가한 것이죠.
기준중위소득의 기준은 정말 엄청납니다.
평균적으로 버는 소득구간을
100%라고 할 수 있는데,
이보다 더 벌고 있는 180%라는 기준이
대다수의 청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네요.
-
오늘은 이렇게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가입기준, 및 혜택이
전보다 좋아진 만큼,
희망적금에서 도약계좌로
변경할 수는 없는지에 대해
궁금해하실 분들도 있을 텐데요.
현재로서는 그에 대해
내부적으로 협의 중이라는 이야기만
나오고 있는 상황이어서,
추후 추가적인 내용이 발표되면,
그때 다시 한번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에도 인생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전달해 드릴 것을 약속드리며,
오늘도 글 읽어주신 모든 분들
행복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반응형'쉽게 보는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 월세 묵시적 갱신의 개념과 임차인 임대인 입장에서의 효력- 묵시적갱신 조건과 계약해지 (0) 2023.02.02 2023년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변경점 확인 - 신청기간, 지급액 및 지급기준 (0) 2023.02.01 연말정산 부양가족 부분 공제 내용정리 - 추가로 받을 수 있는 환급기준 확인 (0) 2023.01.31 원천징수 영수증 발급 방법 정리 - 필요서류 및 홈택스 발급 (0) 2023.01.26 연말정산 월세공제 환급부분 조건 및 제출서류, 신청방법 정리 (0) 2023.01.25